주식/코인용 포트폴리오 양식 공유

주식/코인용 포트폴리오폼 공유 주식/코인용 포트폴리오폼 공유

투자 포트폴리오를 한눈에 확인하기 위해 The Rich(더 리치), 올랙, 뱅크샐러드 등 다양한 앱을 사용해 보았습니다. 하지만 더리치는 실시간 주가 등락 업데이트가 더디고 올락과 뱅크샐러드는 공인인증서 연동이라 코인 자산을 확인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업비트는 수익률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고 자산 추이를 확인할 수 있는 ‘주식/코인용 포트폴리오’ 양식을 공유합니다. 구글 스프레드시트 링크는 글의 맨 아래에 있습니다. 투자 포트폴리오를 한눈에 확인하기 위해 The Rich(더 리치), 올랙, 뱅크샐러드 등 다양한 앱을 사용해 보았습니다. 하지만 더리치는 실시간 주가 등락 업데이트가 더디고 올락과 뱅크샐러드는 공인인증서 연동이라 코인 자산을 확인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업비트는 수익률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고 자산 추이를 확인할 수 있는 ‘주식/코인용 포트폴리오’ 양식을 공유합니다. 구글 스프레드시트 링크는 글의 맨 아래에 있습니다.

주식/코인용 포트폴리오 사용법 주식/코인용 포트폴리오 사용법

0. 주식/코인용 포트폴리오 구성 1) 본 투자 포트폴리오는 국내/해외 주식 및 코인용입니다. 단, 부동산, 채권, 원자재 등 다른 자산군을 추가해도 되고 기존 자산군을 없애도 됩니다. 2) 날짜별 자산 추이를 확인할 수 있어 코인 시세를 빠르게 반영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 자산구성을 표와 그래프로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목표로 하는 투자금액, 매도가격, 보유비중 등을 설정함으로써 향후 자산관리에 반영할 수도 있습니다. 0. 주식/코인용 포트폴리오 구성 1) 본 투자 포트폴리오는 국내/해외 주식 및 코인용입니다. 단, 부동산, 채권, 원자재 등 다른 자산군을 추가해도 되고 기존 자산군을 없애도 됩니다. 2) 날짜별 자산 추이를 확인할 수 있어 코인 시세를 빠르게 반영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 자산구성을 표와 그래프로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목표로 하는 투자금액, 매도가격, 보유비중 등을 설정함으로써 향후 자산관리에 반영할 수도 있습니다.

주식/코인용 포트폴리오 구성: 1.자산 추이, 2.자산 구성 주식/코인용 포트폴리오 구성: 1.자산 추이, 2.자산 구성

3) 위에서 총투자/매입/평가금액과 자산추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아래 표와 그래프는 자산의 종류와 금액, 비율 등을 나타냅니다. 3) 위에서 총투자/매입/평가금액과 자산추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아래 표와 그래프는 자산의 종류와 금액, 비율 등을 나타냅니다.

주식/코인용 포트로리오 구성: 3. 국내 주식 4. 해외 주식 5. 코인 주식/코인용 포트로리오 구성: 3. 국내 주식 4. 해외주식, 5. 코인

4) 다음으로 각 자산별 종목의 평가손익, 수익률, 보유비중, 투자기간, 주가변화 등을 알 수 있습니다. 코인의 경우 Update를 누를 때마다 실시간 업비트 시세를 가져옵니다. 5) 모든 종목과 금액은 제가 임의로 설정한 것이고, 직접 입력해야 하는 칸은 녹색으로 구분해두었습니다. 직접 사용하실 때는 색을 지워도 됩니다. 4) 다음으로 각 자산별 종목의 평가손익, 수익률, 보유비중, 투자기간, 주가변화 등을 알 수 있습니다. 코인의 경우 Update를 누를 때마다 실시간 업비트 시세를 가져옵니다. 5) 모든 종목과 금액은 제가 임의로 설정한 것이고, 직접 입력해야 하는 칸은 녹색으로 구분해두었습니다. 직접 사용하실 때는 색을 지워도 됩니다.

1. 자산 추이: 먼저 현재 총 투자금액, 총 매입금액, 총 평가금액과 총 수익률을 볼 수 있는 표가 있습니다. 1. 자산 추이: 먼저 현재 총 투자금액, 총 매입금액, 총 평가금액과 총 수익률을 볼 수 있는 표가 있습니다.

주식/코인용 포트폴리오표 주식/코인용 포트폴리오표

본인이 설정한 목표매수/평가금액(보라색)과 비교하면 현재 투자 달성도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설정한 목표매수/평가금액(보라색)과 비교하면 현재 투자 달성도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History 시트 History 시트

위 표의 값은 매주 “History”라는 두 번째 시트에 기록됩니다. 위 표의 값은 매주 “History”라는 두 번째 시트에 기록됩니다.

스크립트 에디터 record Histroy()함수 스크립트 에디터 record Histroy()함수

값을 불러오는 코드는 ‘툴 > 스크립트 에디터에 record History() 함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값을 불러오는 코드는 ‘툴 > 스크립트 에디터에 record History() 함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istory 시트 트리거 History 시트 트리거

트리거는 매주 월요일 오전 7시~오전 8시 사이로 설정했습니다. 즉, History 시트의 값은 주 1회 새로운 행이 추가되어 기록됩니다. 시간의 유형이나 요일, 시간 등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트리거는 매주 월요일 오전 7시~오전 8시 사이로 설정했습니다. 즉, History 시트의 값은 주 1회 새로운 행이 추가되어 기록됩니다. 시간의 유형이나 요일, 시간 등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자산 추이 1. 자산 추이

그러면 History 시트 값을 기준으로 주별 자산 추이가 위 그래프와 같이 표시됩니다. 그러면 History 시트 값을 기준으로 주별 자산 추이가 위 그래프와 같이 표시됩니다.

업데이트 할 수 없는 경우 실행 버튼 클릭 업데이트 할 수 없는 경우 실행 버튼 클릭

만약 갱신되지 않을 경우 ‘도구->스크립트 에디터’에서 실행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행이 추가됩니다. ☞ History 시트 상세 정보 알기 만약 갱신되지 않을 경우 ‘도구->스크립트 에디터’에서 실행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행이 추가됩니다. ☞ History 시트 상세 정보 알기

2. 자산구성: 자산 구성을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초록색 칸만 직접 입력하시면 됩니다. 2. 자산구성: 자산 구성을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초록색 칸만 직접 입력하시면 됩니다.

2. 자산구성 2. 자산구성

1) 주식투자, 코인 등에 현재 투자한 금액을 입력하면 자산별 현재 투자비율이 나옵니다. 다른 자산군을 추가하려면 행을 추가하여 넣으십시오. 2) 다음으로 현재평가금액(총매입, 총평가)과 현재평가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기록됩니다. 3) 마지막으로 각자의 목표 투자 금액을 입력하면 현재 대비 목표 투자 비율과 평가 금액 달성률을 볼 수 있습니다. 4) 그러면 오른쪽에 자산별 비중을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와 목표 투자 포트폴리오를 비교하면 향후 자산 비중을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1) 주식투자, 코인 등에 현재 투자한 금액을 입력하면 자산별 현재 투자비율이 나옵니다. 다른 자산군을 추가하려면 행을 추가하여 넣으십시오. 2) 다음으로 현재평가금액(총매입, 총평가)과 현재평가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기록됩니다. 3) 마지막으로 각자의 목표 투자 금액을 입력하면 현재 대비 목표 투자 비율과 평가 금액 달성률을 볼 수 있습니다. 4) 그러면 오른쪽에 자산별 비중을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와 목표 투자 포트폴리오를 비교하면 향후 자산 비중을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국내주식 포트폴리오 : 국내주식의 평가손익, 수익률, 보유비중, 투자기간, 주가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국내주식 포트폴리오 : 국내주식의 평가손익, 수익률, 보유비중, 투자기간, 주가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국내주식 포트폴리오 3. 국내주식포트폴리오

1) 현금, 종목명, 종목코드, 보유수량, 매입가격을 입력합니다. 종목코드는 현재 가격과 주가의 변화를 구글 파이낸스 함수에 가져올 때 필요하기 때문에 번거로우시겠지만 종목을 추가할 때마다 입력해야 합니다. 2) 평가손익 = (현재가격- 매입가격) * 보유수량 – 매매비용에서 매매비용(수수료+세금)은 키움증권(수수료등급일반) 기준입니다. 수수료(10원 미만 절사) = 총매입체결금액 * 0.015% + 총매도체결금액 * 0.015% 세금 (원 미만 절사) = 매도 금액 * (거래세 * 0.08% + 농특세 * 0.15%) (거래소매매) = 매도체결금액 * 0.23 % (코스닥 매매) 3) 평가손익, 수익률과 보유비중은 가격에 따라 색상이 달라지도록 설정하였습니다. 색상은 칸을 우클릭하여 조건부 서식에 따라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현금, 종목명, 종목코드, 보유수량, 매입가격을 입력합니다. 종목코드는 현재 가격과 주가의 변화를 구글 파이낸스 함수에 가져올 때 필요하기 때문에 번거로우시겠지만 종목을 추가할 때마다 입력해야 합니다. 2) 평가손익 = (현재가격- 매입가격) * 보유수량 – 매매비용에서 매매비용(수수료+세금)은 키움증권(수수료등급일반) 기준입니다. 수수료(10원 미만 절사) = 총매입체결금액 * 0.015% + 총매도체결금액 * 0.015% 세금 (원 미만 절사) = 매도 금액 * (거래세 * 0.08% + 농특세 * 0.15%) (거래소매매) = 매도체결금액 * 0.23 % (코스닥 매매) 3) 평가손익, 수익률과 보유비중은 가격에 따라 색상이 달라지도록 설정하였습니다. 색상은 칸을 우클릭하여 조건부 서식에 따라 변경할 수 있습니다.

4) ‘현재가격’열에는 메모로 목표매도가격을, ‘섹터보유비중’열에는 메모로 목표보유비중을 기록했습니다. 다른 줄로 당기면 난잡한 느낌이 들기 때문에 메모에 기록하여 종목 관리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5) ‘종목명’ 열과 ‘총자산’ 행이 만나는 칸의 숫자는 종목수입니다. 6) 투자 기간은 각각의 기준에 맞춰 단기, 중기, 장기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7) 오른쪽 차트는 섹터와 종목의 보유 비율을 보여줍니다. 4) ‘현재가격’열에는 메모로 목표매도가격을, ‘섹터보유비중’열에는 메모로 목표보유비중을 기록했습니다. 다른 줄로 당기면 난잡한 느낌이 들기 때문에 메모에 기록하여 종목 관리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5) ‘종목명’ 열과 ‘총자산’ 행이 만나는 칸의 숫자는 종목수입니다. 6) 투자 기간은 각각의 기준에 맞춰 단기, 중기, 장기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7) 오른쪽 차트는 섹터와 종목의 보유 비율을 보여줍니다.

4. 해외주식 포트폴리오 : 해외주식(미국주식)의 평가손익, 수익률, 보유비중, 투자기간, 주가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해외주식 포트폴리오 : 해외주식(미국주식)의 평가손익, 수익률, 보유비중, 투자기간, 주가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해외주식 포트폴리오 4. 해외주식포트폴리오

1) 현금, 종목명, 종목코드, 보유수량, 매입가격을 달러로 입력합니다. 종목명은 반드시 풀네임이 아닌 티커로 입력해야 Google Finance 함수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평가손익에서 매매비용은 키움증권 기준(거래수수료 0.07%)으로 적용하였습니다. 3) 이용 방법은 국내 주식 포트폴리오와 동일합니다. 1) 현금, 종목명, 종목코드, 보유수량, 매입가격을 달러로 입력합니다. 종목명은 반드시 풀네임이 아닌 티커로 입력해야 Google Finance 함수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평가손익에서 매매비용은 키움증권 기준(거래수수료 0.07%)으로 적용하였습니다. 3) 이용 방법은 국내 주식 포트폴리오와 동일합니다.

5. 코인포트폴리오 : 업비트 기준 코인의 평가손익, 수익률, 보유비중, 투자기간, 주가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현금, 종목명, 매입가격, 매입금액을 입력합니다. 도지와 같은 일부 코인은 주가 구글 파이낸스 함수가 주가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2) “Update”를 클릭하면 실시간 코인 시세를 가져옵니다. 변동성이 큰 코인의 시세를 자동으로 가져오면 연동이 느리고 가져오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어 필요할 때 수동으로 데이터를 가져오도록 했습니다. 5. 코인포트폴리오 : 업비트 기준 코인의 평가손익, 수익률, 보유비중, 투자기간, 주가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현금, 종목명, 매입가격, 매입금액을 입력합니다. 도지와 같은 일부 코인은 주가 구글 파이낸스 함수가 주가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2) “Update”를 클릭하면 실시간 코인 시세를 가져옵니다. 변동성이 큰 코인의 시세를 자동으로 가져오면 연동이 느리고 가져오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어 필요할 때 수동으로 데이터를 가져오도록 했습니다.

5. 코인 포트폴리오 5. 코인 포트폴리오

3) Update를 눌렀을 때 random Cell()이 실행되며 랜덤한 숫자를 D2칸에 표시하고 시세 API 칸에서 B9칸의 변화를 감지하면 업데이트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양식에 이미 적용된 것이라 변경할 사항은 없습니다. 4) 새로운 종목을 추가하시려면 행을 추가하시고 기존 ‘현재가격’열의 종목코드만 바꿔주시면 됩니다. * 아래 식은 업비트 API를 가져와 비트코인(BTC) 시세를 연동한 것입니다. =query(importjson)(“https://crix-api-endpoint.upbit.com/v1/crix/candles/minutes/1?code=CRIX.UPBIT.KRW-BTC&count=1&dash=”&B9,”/tradePrice”,”noHeaders”),”select*”) 만약 에이다(ADA)의 시세를 추가하고 싶다면 위의 BTC를 ADA로 변경하기만 하면 됩니다. ☞ Update 기능을 더 알기 3) Update를 눌렀을 때 random Cell()이 실행되며 랜덤한 숫자를 D2칸에 표시하고 시세 API 칸에서 B9칸의 변화를 감지하면 업데이트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양식에 이미 적용된 것이라 변경할 사항은 없습니다. 4) 새로운 종목을 추가하시려면 행을 추가하시고 기존 ‘현재가격’열의 종목코드만 바꿔주시면 됩니다. * 아래 식은 업비트 API를 가져와 비트코인(BTC) 시세를 연동한 것입니다. =query(importjson)(“https://crix-api-endpoint.upbit.com/v1/crix/candles/minutes/1?code=CRIX.UPBIT.KRW-BTC&count=1&dash=”&B9,”/tradePrice”,”noHeaders”),”select*”) 만약 에이다(ADA)의 시세를 추가하고 싶다면 위의 BTC를 ADA로 변경하기만 하면 됩니다. ☞ Update 기능을 더 알기

슬래브투자양식_2.0공유방법 슬래브투자양식_2.0공유방법

7개의 포스팅에 의해 제작된 주식/코인용 포트폴리오, 국내/해외주식 매매일지, 환차손익계산기, 업비트 매매일지 등이 모두 포함된 슬라브의 투자양식_2.0을 무료로 배포합니다. 7개의 포스팅에 의해 제작된 주식/코인용 포트폴리오, 국내/해외주식 매매일지, 환차손익계산기, 업비트 매매일지 등이 모두 포함된 슬라브의 투자양식_2.0을 무료로 배포합니다.

양식 공유 방법은 아래의 3단계와 동일합니다. 1. 이 글에 ‘좋아요’를 클릭하여 2. 전체공개로 스크랩한 후, 3. 제 인스타그램 계정의 팔로우 또는 텔레그램 채널에 접속해 주세요. 1) 인스타그램 계정 – @slav_insight2) 텔레그램 채널 양식 공유 방법은 아래 3단계와 같습니다. 1. 이 글에 ‘좋아요’를 클릭하여 2. 전체공개로 스크랩한 후, 3. 제 인스타그램 계정의 팔로우 또는 텔레그램 채널에 접속해 주세요. 1) 인스타그램 계정 – @slav_insight2) 텔레그램 채널

감지된 언어가 없습니다.

입력 언어를 확인해 주세요.

이후 댓글로 인스타그램/텔레그램 아이디와 양식을 공유하는 이메일을 남겨주시면 순차적으로 공유드리겠습니다. 이후 댓글로 인스타그램/텔레그램 아이디와 양식을 공유하는 이메일을 남겨주시면 순차적으로 공유드리겠습니다.

 

양식은 접근 허가 요청 없이 “파일 -> 복사 작성”을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는 시트는 삭제해도 되지만, 「History」시트는 삭제해서는 안됩니다. 양식은 접근 허가 요청 없이 “파일 -> 복사 작성”을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는 시트는 삭제해도 되지만, 「History」시트는 삭제해서는 안됩니다.

머니 파이프라인을 구축 중인 20대 투자자 슬라브입니다. 꾸준한 리서치와 기록을 바탕으로 나만의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인스타그램이랑 텔레그램도 보세요 🙂 머니 파이프라인을 구축 중인 20대 투자자 슬라브입니다. 꾸준한 리서치와 기록을 바탕으로 나만의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인스타그램이랑 텔레그램도 봐주세요 🙂

운영 중인 채널 소개 및 향후 계획(이웃 4,000명 달성 기념) 블로그 이웃 4,000명 달성 안녕하세요, 슬라브입니다. 오늘 제 블로그 이웃은 4,000명이 넘었습니다… blog.naver.com 운영 중인 채널 소개와 앞으로의 계획(이웃 4,000명 달성 기념) 블로그 이웃 4,000명 달성 안녕하세요, 슬라브입니다. 오늘 제 블로그 이웃은 4,000명이 넘었습니다… blog.naver.com

 

Scroll to Top